2025. 2. 11. 17:58ㆍTokkiSea/Tokki
오랜만에 읽은 하루키책.
그리고 말들이 많은 책.
지극히 개인적인 후기를 남겨봅니다.
이 책을 약 60% 정도 읽었을 때는 화가 났다.
우선, 같은 문장의 반복이 너무 많았다.
처음엔 하루키가 쓴 글이니, 그 반복이 이유가 있지 않을까? 하면서
읽어 나갔으나, 이유를 찾지 못했다.
그리고 이 책에서 하루키가 하고자 하는 말도 이해가 안 되고,
여자아이에 대한 묘사가 너무 하루키의 옛 소설 같아서
하루키의 신작을 기대한 사람입장에선 조금 지루한 감정도 있었다.
같은 것의 반복 같은 느낌.
그리고 장소에 대한 묘사.
무언가 꿈 속의 장소를 더듬어 보는 듯한 느낌의
단순한 묘사처럼 느껴지는 부분들이 마음에 걸렸다.
커다란 심상만 있는 묘사.
나를 소설 속으로 데려가지 못하는 그런 묘사였다.
읽으면서 시간이 아깝다는 기분마저 조금씩 들었다.
이게 약 60%를 읽었을 때의 나의 생각이다.
그리고 다 읽고 나서, 나의 기분과 생각은 달라졌다.
다 읽고 나서의 감정은 너무 좋았다 까지는 아니지만, 괜찮았다.
그가 여기서 하고자 한 말이 어떤 것인지.
내 나름대로 이해하고 받아들여졌다.
내가 생각한 이 책의 이해는 글을 쓰는 소설가의 마음으로
해석되었다.
내가 글을 쓸 때, 내가 생각하고 상상하는 그 세계가 때론 더 현실 같고,
지금이 가상 같으며.
상상의 세계에 몰입해 있다가 현실로 돌아오면, 그것이 꿈이었는지
내가 직접 겪은 일인지. 아니면 그냥 나의 상상이었는지 모호해지는 경험.
너무 깊게 어떤 걸 생각하다 보면, 생생한 꿈을 꾼 듯 우리는 그게 진짜였는지
헷갈리지 않던가.
그래서 나의 느낌 속 그 소녀는 ‘소설’이며,
벽은 ‘자신이 만든 소설세계’이며,
도서관 관장은 ‘본인이 그리는 현실 속 미래’,
그리고 옐로서브마린 소년은
‘자신처럼 소설의 세계로 빠져들 다른 젊은 소설가’로 해석이 되었다.
그렇게 생각하며 글을 다시 생각해 본다.
여자아이의 그 진부 한듯한 묘사는 처음 하루키 소설의 글과 닮았다.
새로 글을 쓰면서 바꿀 수 있었으나, 하루키는
그 처음의 자신의 심상을 바꾸지 않았던 게 아닐까 싶다.
자신의 처음의 마음. 첫사랑. 첫 소설
진짜 그녀가 사는 곳은 상상 속의 그 세계 벽으로 쌓인 그 장소.
글을 쓰며 그 인물을 자세하게 생각하면,
그 인물이 글의 다음의 내용을 알려주기도 한다는 소설가들의
이야기처럼.
그 둘은 그 세계를 같이 상상한 것이 아닐까.
처음 책을 읽으면서 내내 마음속에 생각한 문장이 있다.
그건 표지 뒤에 쓰여 있는 작가의 말이다.
“ 이 작품에는 무언가 나에게 매우 중요한 요소가 포함되어
있다고 처음부터 그렇게 느껴왔다!”
그가 말하고자 한건,
소설가로서의 마음이 아닐까.
본인과 소설과의 세계를 글로 쓴 게 이 소설이 아닐까 싶다.
책에는 굵은 폰트로 쓰인 글 들이 몇 있다.
그중 글의 초반에 등장하여 거의 마지막에 굵은 폰트로 다시 등장하는 글이 있다.
‘ 그런 시간에는 너에게도 나에게도 이름이 없다.
열일곱 살과 열여섯 살의 여름 해 질 녘,
강가 풀밭 위의 선명한 기억 - 오직 그것이 있을 뿐이다.
얼마 지나지 않아 머리 위에 하나둘 별이 반짝일 테지만,
별에도 이름은 없다. ‘
이 글을 보면서 김춘수 시인의 ‘꽃’ 이 떨 올랐다.
‘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는
그는 다만
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.
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
그는 나에게로 와서
꽃이 되었다.’
작가가 상상하는 세계.
그리고 그것에 이름을 주는 작가.
그리고 그 글을 읽는 독자.
우리는 각자의 세계에서 각자의 공간을 보내며,
서로의 상상과 세계를 알지 못한다.
누군가의 발현된 상상은 타인으로 인해서야 현실이 되는
현실은 어쩌면, 상상과 같은
불확실한 벽으로 살아가는 것 같다.
‘인간’
사람 ‘인’ 사이 ‘간’의 인간은
소설 속 주인공처럼, 다른 사람으로 인해 이름을 갖는다.
마지막으로
구성에서 보자면,
마지막 작가후기를 보면 내가 초기 60% 읽으며 느꼈던 것 들을
집필과정을 보면 알 수 있다.
그 과정으로 인해서 인지 책 전반에 반복되는 글과 내용.
그리고 뭔가 정리되지 않은 듯한 느낌은 여전히 남아있다.
하지만 가시처럼 남아 있던 글을 해결하고자 하는
작가의 마음과 그 결과에 대해서 나는 어느 정도 이해한다.
결국 내가 글을 읽으며 내내 마음에 떠올렸던
하루키의 말이 이 책을 다시금 이해하게 해 준다.
“이 작품에는 무언가 나에게 중요한 요소가 포함되어
있다고 처음부터 그렇게 느껴왔다!”
뭔지 모르겠지만 써야겠다는 그 마음.
뭔지 모르겠지만 해봐야 알겠다는 그 마음.
그 소설가의 마음을 담은 책.
[하단의 몇 페이지를 보며, 책을 읽을지 고민하시는 마음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.]
'TokkiSea > Tokki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당신의 인생이 힘든이유 (1) | 2025.02.15 |
---|---|
이명의 탄생 _[페르난두 페소아] (1) | 2025.02.13 |
자연을 좋아하는 사람에게 책을 추천한다면 (0) | 2025.02.09 |
책으로 가는 문 (0) | 2025.02.08 |
소중한 사람에게 선물하기 좋은 책 (0) | 2025.02.07 |